목록분류 전체보기 (78)
함께 나누는 이야기
폭식 행동의 정의는 DSM-V 진단 준거에서 명시하는 폭식 삽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DSM-V에 의하면, 폭식은 매우 많은 양의 음식을 먹는 것으로, 섭취량은 비슷한 상황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먹는 양에 비해 절대적으로 많으며 섭식 중 통제력의 상실감을 느낀다. 그 빈도에 있어서는 ‘3개월 동안 일주일에 한 번 이상’이라고 제시하고 있는데, 증상이 심각해질수록 이 빈도는 증가한다는 연구가 있다. DSM-V에서 언급하는 폭식의 지속 시간은 대개 2시간 이내인데, 신경성 폭식증 환자의 경우 이 시간이 30분에서 1시간가량에 이른다. Jansen, van den Hout와 Griez(1990)의 연구에서는 신경성 폭식증 환자 집단의 경우, 비임상 집단에 비해 섭식 속도가 유의하게 빠르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
학자 Bowlby(1973)에 의하면,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드물게, 혹은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보호와 지지를 받아온 개인력을 가진 사람들은 연인과 헤어지거나 연인으로부터 버려질 가능성에 몰두하게 된다. 따라서 관계가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것을 감지할 때 상대방이 생각하거나 느끼는 바에 대해 매우 민감해진다. 즉, 이러한 개인들은 친밀한 사이에서 관계에 해가 될 것이라고 여겨지는 정보를 습득하려는 동기가 높을 것이며, 여기에는 필연적으로 부정적인 정서가 수반된다. 연인관계에 위협이 되는 상황에서 상대방의 느낌이나 생각에 대한 공감의 정확도를 평가했던 Ickes와 Simpson(2001)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Ickes, Dugosh, Simpon과 Wilson(2003)은 이른바 ‘긁어 부스럼’이 ..
폭식 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이러한 대인관계에서의 민감성은, 주로 불안정 애착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대인불안이나 거부 민감성의 맥락에서 설명되어 왔다. 먼저 대인불안은 ‘낯선 사람들에게 노출되거나 다른 사람들이 지켜볼 수 있는 사회적 상황이나 어떤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현저하고 지속적인 두려움을 보이며, 그런 상황에서 창피하고 당황스럽게 행동할까 봐 두려워하는 것’이라고 정의된다. 즉,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 싶은 강렬한 욕구를 가지면서 자신이 과연 그렇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을지 의심할 때 대인불안을 경험한다. 일상 속의 대인불안 유발 상황을 살펴보면, 사람들 앞에서 발표할 때, 다른 사람들 앞에서 무엇을 해야 할 때, 낯선 사람들이나 이성과 이야기할 때, 권위자..
섭식장애의 높은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현존하는 섭식장애 치료법의 혜택을 입지 못하는 환자의 비율이 50-60%에 육박한다는 사실을 밝힌 연구가 존재한다(Mitchell, Agras & Wonderlich,2007). 실제로 치료 장면에 찾아오는 환자들의 수도 적을뿐더러, 이렇듯 적극적인 도움을 구하는 환자들에게서도 치료율이 절반에 불과하다는 점은 어떠한 심리적인 요인들이 질병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역설해 준다. Fairburn을 위시한 연구자들에 따르면, 그러한 요인들에는 정서를 인내하지 못하는 것, 대인관계 문제, 낮은 자존감, 완벽주의 등이 포함되며, 그 외에도 의존성에 대한 염려, 타인에게 버림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 분리-개별화의 어려움 등이 폭식 행동과 관련이 있는 ..
수치심은 자기 조절 능력과 관련되는데, 프로이트는 수치심을 충동을 억제하는 특성으로 보았으며, 에릭슨은 유아가 자기 통제와 자율성을 습득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수치심을 경험할 수 있다고 보았다. 피어와 싱어는 수치심을 실제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의 불일치로 인한 갈등과 긴장으로 설명하였는데, 죄책감은 ‘잘못된 행동’에 관한 것이지만 수치심은 ‘실패’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치심은 ‘버림받음’과 ‘유기’와 같은 무의식적인 위협을 야기하는데, 이러한 두려움을 보상하기 위해 자기 처벌적 행동이 나타난다. 실제로, 수치심을 경험하는 사람은 자기 존재에 대한 부적절감을 느끼고, 타인이 자신을 매력 없고 열등하다고 평가할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사라지고 싶은 마음이 들며, 분노와 모욕감을 경험하거나 타인을 비..
폭식 행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섭식 모델은 크게 세 가지로 섭식 절제 모델, 정서적 섭식 모델, 이중경로 모델이 있다. Herman과 Polivy(1980)는 폭식을 설명하기 위해 ‘섭식 절제 모델(Restraint)’을 제안하였다. 섭식 절제자들의 경우 섭식 유형에 있어서 다이어트로 인한 섭식 절제와 과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들이 음식 섭취에 대한 자기 통제를 약화시키는 탈억제 요인(disinhibitor)에 영향을 받게 되면 음식에 대한 생리적 욕구가 우세하게 되어 다이어트 계획을 위반하고 폭식 행동을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섭식 절제가 반드시 폭식을 유발하지는 않으며, 이에 대한 대안적 설명으로 정서적 섭식 모델이 제안되었다. 정서적 섭식 모델은 폭식 행동이 부정적인 정서에 의해 유발..
내현적 자기애는 사회 공포증과도 높은 연관성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거대 자기 환상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내면에 자리 잡고 있으며, 결국 자신은 상처 받아서도 안 되고 무시당해서도 안 된다는 내면의 심리구조로부터 사회 공포증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따라서 자신이 뭔가 잘 못하는 상황이나 창피를 당할 위험이 잇는 상황에서 회피하는 특성을 보이고 어쩔 수 없이 그런 상황에 처했을 때는 어떻게 해야 타인이 자신을 좋게 볼 수 있을 지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는 특징이 있다. 내현적 자기애를 지닌 사람들은 외현적 자기애를 지닌 사람들에 비해 우울이나 분노, 불안, 공격성 등의 역기능적인 정서를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사소한 스트레스에도 과민 반응을 보이며 자존감과 자신감이 낮다고 보고 되었다. 외현적 자기..
DSM-5(APA, 2013)에 의하면 신경성 폭식증은 다섯 가지 조건이 충족될 때 진단된다. 첫째, 반복적인 폭식 행동이 나타나야 한다. 폭식 행동은 일정한 시간 동안 대부분의 사람이 유사한 상황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 먹는 것보다 분명하게 많은 양의 음식을 먹는 것이다. 또한 폭식 행위 동안 먹는 것에 대한 조절 능력의 상실감 (예 : 먹는 것을 멈출 수 없으며, 무엇을 또 얼마나 많이 먹어야 할 것인지를 조절할 수 없다는 느낌)을 느낀다. 둘째, 스스로 유도한 구토 또는 설사제, 이뇨제, 관장약, 기타 약물의 남용 또는 금식이나 과도한 운동과 같이 체중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반복적이고 부적절한 보상 행동이 나타난다. 셋째, 폭식 행동과 부적절한 보상 행동 모두 평균적으로 적어도 1주일에 1회 이상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