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함께 나누는 이야기

여성의 식이장애 문제가 심각한 이유 본문

카테고리 없음

여성의 식이장애 문제가 심각한 이유

발렌 2021. 3. 13. 13:00

섭식장애의 높은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현존하는 섭식장애 치료법의 혜택을 입지 못하는 환자의 비율이 50-60%에 육박한다는 사실을 밝힌 연구가 존재한다(Mitchell, Agras & Wonderlich,2007). 실제로 치료 장면에 찾아오는 환자들의 수도 적을뿐더러, 이렇듯 적극적인 도움을 구하는 환자들에게서도 치료율이 절반에 불과하다는 점은 어떠한 심리적인 요인들이 질병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역설해 준다. Fairburn을 위시한 연구자들에 따르면, 그러한 요인들에는 정서를 인내하지 못하는 것, 대인관계 문제, 낮은 자존감, 완벽주의 등이 포함되며, 그 외에도 의존성에 대한 염려, 타인에게 버림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 분리-개별화의 어려움 등이 폭식 행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요인들은 애착 이론에서 흔히 설명되는 주제이기도 하다. 애착이란 한 개인이 자신과 가장 가까운 사람에 대해서 느끼는 강하고 지속적인 정서적 유대관계를 의미한다. Bowlby는 아동기에 주 양육자와의 관계에서 형성된 애착이 청소년기와 성인기 이후까지 작동하는 내적인 모델이 되어, 평생에 걸쳐 정서·인지·사회성 발달을 이끌어주는 정신건강의 원천이 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애착이 개인의 심리적인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만큼, 다양한 정신장애와 애착 유형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섭식장애 역시 예외는 아니다. Armstrong과 Roth(1989)는 27명의 섭식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애착 유형을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 섭식장애 환자의 96%가 불안정 애착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Kenny와 Hart(1992)의 연구에서는 정상인 대학생과 섭식장애 치료시설에 수용된 집단 간 부모의 애착 점수를 비교하였는데, 정상인 대학생 집단에서 보고된 부모의 애착 점수가 섭식장애 치료시설에 수용된 집단의 부모 애착 점수보다 더 높았다. 국내에서는 오숙현(1994)이 섭식장애 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부모와의 애착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였는데, 섭식장애 집단에서 애착 점수가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 외에도 불안정 애착과 섭식장애 증상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힌 연구가 다수 존재하나, 그 관계는 직접적이지 않았다. 즉, 안정 애착을 형성한 개인들에 비해 불안정 애착에 해당하는 개인들이 섭식장애 증상을 발달시킬 가능성이 높았으나, 특정한 불안정 애착 유형을 특정 섭식장애 진단으로 곧장 연결 지을 수 있을 만한 증거는 부족하였다.

<출처:픽사베이>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애착과 섭식장애 증상의 연결고리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일까? 먼저 불안정 애착과 대인관계 민감성의 관계에 대해 논할 필요가 있다. 신경성 폭식증 증상을 지닌 여성들은 본질적으로 부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에 과도하게 민감하고, 이는 높은 자기비판과 부정적 정서를 야기한다는 연구가 존재한다. 섭식장애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대인관계 민감성은 부모로부터의 자율성이나 분리의 문제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장애를 발달 및 유지시키는 요인이 된다. 더불어 섭식장애를 지닌 개인들은 불안정 애착의 하위유형에 상응하는 대인관계 문제를 보인다는 증거도 존재한다. 이는 폭식 증상에 보통 부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과 자기비판이 선행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결과이다. 앞서 언급하였듯 관계에서의 의존성이나 상대방으로부터 버림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이 폭식 행동과 관련되어 흔히 설명되어온 주제임을 고려할 때,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개인들은 특히 관계에 위협이 되는 단서에 대해 과도하게 민감할 것이며 그로 인해 폭식 행동이 유발되리라고 예상해볼 수 있다.

참고문헌 : 남초롱, 2014, 애착불안, 관계-위협정보 습득동기,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대학원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