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78)
함께 나누는 이야기
분노 표현방식과 신경성 폭식증 간의 상관을 살펴보면, 분노 표현방식의 하위요인인 분노 표출과 분노 억제가 신경성 폭식증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즉, 여자 청소년의 분노 표현방식 중 분노 표출, 분노 억제 방식이 높아질수록 신경성 폭식증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이는 분노 표출과 분노 억제는 신경성 폭식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신경성 폭식증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적대감 수준이 높고 공격성을 내면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분노를 억제하는 여성은 신경성 폭식증이 나타난다고 밝힌 연구들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섭식장애 여성은 높은 수준의 분노와 억압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 분노 억제에서 비롯된 우울로 인해 폭식 행동을 할 경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부정정서가 신경성 폭식증에 선행하고 분노 표..
여자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가 신경성 폭식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와 신경성 폭식증 관계에서 분노 표현방식(분노 표출, 분노 억제, 분노조절)의 조절 효과를 알아볼 때,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성향이 높을수록 신경성 폭식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가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보다 신경성 폭식증 수준이 더 높고, 자신의 완벽함을 남들에게 보여주려 하면서 자신의 실수, 단점, 실패와 같은 불완전함을 반영하는 행동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말하기를 피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한 사람들이 신경성 폭식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선행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섭식장애 환자들 대부분이 완벽주의적 특성이 나타났다는 연구와 완벽주의적 특성이 신경성 ..
분노 표현방식의 하위 유형 중 분노 표출과 분노 억제는 신경성 폭식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신경성 폭식증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적대감 수준이 높고 공격성을 내면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분노를 억제하는 여성은 신경성 폭식증을 보인다. 임지영(2009)은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에 속하는 청소년의 MMPI-A 프로파일 양상을 살펴본 결과, 신경성 폭식증 위험집단 여학생들은 대인관계 어려움이 있고 스트레스를 받으면 공상으로 도피하거나 충동적인 특성을 나타난다고 하였다. 또한 행동화 가능성과 현실감각의 결여, 통제력 부족 등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신경성 폭식증 집단에서 나타나는 충동성, 행동화 가능성, 통제력 부족 등의 성격 특성은 분노 표현방식 중 분노 표출을 사용하는 여학생들에게 신경성 폭식증이 더..
분노는 누구나 경험하는 가장 기본적인 정서 중 하나로 그것을 경험하는 사람과 사회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강력한 정서 중 하나이다. 분노란 외부에서의 자극으로 생겨난 감정으로 적절히 방출되어야 하는 동시에 외부 자극에 의해 발생되는 내적이며 감정적 반응이기도 하다. 분노는 인지적, 심리적, 신체적, 행동적 측면을 포함하는 정서라는 것이 여러 학자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분노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위협적으로 위해를 받았을 때 나타나기 쉽다. 특히 청소년기에 자율성의 욕구가 증가하면서 가족 및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거나 주장할 수 있는 기회를 침해받았다고 느낄 때 뚜렷하게 표출되기도 하고 부모들의 의사소통 양식을 학습하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서 분노 정서를 느끼고 학습하기도 한다. 안윤영(2..
완벽주의(perfectionism)는 신경성 폭식증 및 이상 섭식행동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성 폭식증 환자들은 자신의 몸매와 체중에 대해 비현실적이고 엄격한 기준을 가지며 실제 자신의 상태와는 상관없이 자신이 기대하는 몸매 및 체중에 대한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완벽주의 성향으로, 작은 체중조절의 실패에도 쉽게 좌절감을 느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정상적인 섭식행동을 보인다. 이처럼 완벽주의는 신경성 폭식증 발병 및 발달 그리고 유지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신경성 폭식증 환자들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스스로에게 높은 기준을 세우고 자신을 엄격하게 평가하거..
Leary & Kowalski(1995)는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는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기 위한 시도이지만 타인에게 좋은 인상을 주려고 하였던 의도가 자신을 지나치게 통제적으로 행동하게 하여 결국 타인과 관계를 차단한다고 하였다. Buss와 Finn(1987)은 개인의 성격을 성격의 특성적 측면인 내용적 측면과 대인관계적 측면을 의미하는 표현적 측면으로 구분하고, 대인관계적 측면인 완벽주의의 표현적 측면에 주목한 것을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라고 하였다. 이러한 경향이 높은 사람은 승인의 욕구와 공적 자의식이 높아 자신이 이상적인 태도를 보여줄 수 있는 사회적 상황과 일에 중점을 둔다. 즉,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는 실제로 완벽한 수행을 하는 것과는 별개로 타인으로부터 완벽함을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는..
완벽주의는 완벽함을 요구하는 대상이 무엇인가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self perfectionism)이며 또 하나는 타인 지향적 완벽주의(other-oriented perfectionism)이고, 마지막 하나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이다.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란 완벽주의 행동을 자신에게 부과하는 것으로 스스로 높은 기준을 세우고 자신을 엄격하게 평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완벽하게 성공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한다.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 경향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성공에 대해 자랑스러워하고 내부귀인하며 실패는 일시적인 외적 상황으로 외부귀인한다. 그러나 많은 노력을 했을 때에도 실패 경험을 하게 되면 좌절과 ..
인지 행동적 관점에서는 신경성 폭식증 유지의 일차적 요소로 섭식에 대한 과도한 평가를 제안하였고, 신경성 폭식증은 극단적인 체중조절 행동(제한된 섭식, 식이 억제 행동, 스스로 유발한 구토 행동, 하제와 이뇨제 남용, 과도한 운동), 신체 체크, 섭식행동, 체중에 대해 끊임없이 몰두하는 사고의 특징이 있다. 또한, 배고픔과 포만감의 조절 능력 상실, 세로토닌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마른 체형에 대한 미적 선호도, 친구와 미디어의 영향 등의 사회 문화적 요인, 신체 불만족, 외모에 대한 비교평가, 마르고 싶은 욕구, 낮은 자아존중감, 불안, 우울,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요인들이 신경성 폭식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백승희(2010)는 스트레스나 제한된 식사 뒤의 심한 배고픔에 의하여 폭식이 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