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함께 나누는 이야기

청소년의 자기제시와 식이장애와의 관계 본문

카테고리 없음

청소년의 자기제시와 식이장애와의 관계

발렌 2021. 3. 17. 17:00

완벽주의는 완벽함을 요구하는 대상이 무엇인가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self perfectionism)이며 또 하나는 타인 지향적 완벽주의(other-oriented perfectionism)이고, 마지막 하나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이다.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란 완벽주의 행동을 자신에게 부과하는 것으로 스스로 높은 기준을 세우고 자신을 엄격하게 평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완벽하게 성공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한다.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 경향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성공에 대해 자랑스러워하고 내부귀인하며 실패는 일시적인 외적 상황으로 외부귀인한다. 그러나 많은 노력을 했을 때에도 실패 경험을 하게 되면 좌절과 분노를 경험하게 된다. 타인 지향적 완벽주의는 완벽주의 행동을 타인에게 부과하는 것으로 타인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나 기대를 가지고 타인에게 비현실적인 높은 기준을 세우고 다른 사람의 행동이 완벽해지는 것에 중요성을 두며 그들의 행동을 엄격하게 평가한다. 그리고 타인이 자신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을 때 비난하고 적대감을 가진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다른 사람의 믿음이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신의 비현실적인 기준을 세우고 엄격하게 평가한 후 완벽해져야 한다고 압력을 넣는 것이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타인으로부터 부과된 기준이 과도하고 자신이 통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는 분노, 불안,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과 관련이 있다. 또한 성공 가능성을 최소화시키고 생각하고 실패에 대해서는 자신 때문이라고 내부귀인하며 실수에 대해 과잉 일반화하여 생각하기 때문에 다른 차원의 완벽주의 경향이 높은 사람들보다 두려움을 더 크게 느끼고 적응적이지 못하다.

완벽주의는 우울, 강박, 불안, 섭식장애, 자살 등 다양한 심리사회적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완벽주의의 정신병리에 대한 연구들에서 기존의 연구들 만으로는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유지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나타나 최근에는 대인관계에서 완벽하게 보여지고 싶은 표현적 욕구를 반영하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출처:픽사베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기제시(self-presentation)의 개념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자기제시란 인상관리의 하위 차원으로 인상관리(impression management)란 특정한 사람, 물건, 혹은 사건에 대한 정보를 통제하려는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목표지향적 활동이다. 인상관리 세부영역으로서 자신에 대한 인상을 통제하려고 하는 것을 자기 제시(self-presentation)라고 한다. 자기 제시란 타인에게 완벽하게 보이고자 하는 욕구이며,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는 완벽주의 성격의 일부로, 완벽주의적 행동의 대인관계적인 표현을 포함하고 있다. 기존 완벽주의가 특성적인 것으로서 개인의 성격, 태도에 초점을 두었다면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는 대인관계에서 타인에게 완벽하게 보이려는 표현적 욕구에 관심을 두는 것이다. 자신을 ‘완벽하게’ 제시하려는 특성을 지닌 사람을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성향(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을 지녔다고 한다. 이동귀와 서혜나(2010)는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성향이 높은 사람이 완벽한 인상관리에 더 관여할 가능성이 높고, 남 앞에서 실수할까 봐 걱정하며, 타인의 시각에 대해 과도하게 신경을 쓴다고 한다.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성향이 높은 사람은 타인에게 완벽하게 보이고 인정받으려고 노력한다. 그로 인해 상대방이 자신을 싫어할까 봐 두려워 스스로를 과도하게 보호하는 등의 행동으로 대인관계의 부적응을 초래한다.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는 스스로 자신을 통제하려 하며 그러한 행동이 과해지다가 우울로 이어지고, 우울한 기분을 풀기 위해 음식에 집착하게 되면서 폭식증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성인은 물론 청소년에게도 나타나는 현상이며 청소년의 경우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상태이기 때문에 자신의 주체할 수 없는 감정의 소용돌이에서 음식처럼 자신을 도와주는, 구원해주는 듯한 존재를 만나게 되면 집착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 허진, 2017, 여자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신경성 폭식증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현방식의 조절효과,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