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함께 나누는 이야기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청소년기 특징의 관련성 본문

카테고리 없음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청소년기 특징의 관련성

발렌 2021. 3. 18. 09:00

Leary & Kowalski(1995)는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는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기 위한 시도이지만 타인에게 좋은 인상을 주려고 하였던 의도가 자신을 지나치게 통제적으로 행동하게 하여 결국 타인과 관계를 차단한다고 하였다. Buss와 Finn(1987)은 개인의 성격을 성격의 특성적 측면인 내용적 측면과 대인관계적 측면을 의미하는 표현적 측면으로 구분하고, 대인관계적 측면인 완벽주의의 표현적 측면에 주목한 것을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라고 하였다. 이러한 경향이 높은 사람은 승인의 욕구와 공적 자의식이 높아 자신이 이상적인 태도를 보여줄 수 있는 사회적 상황과 일에 중점을 둔다. 즉,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는 실제로 완벽한 수행을 하는 것과는 별개로 타인으로부터 완벽함을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Hewitt(2003)은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를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간주하고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 노력(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은 자신의 완벽함을 공적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욕구이다. 이러한 완벽주의적 자기 노력 경향이 높은 사람은 타인에게 인정과 존중을 받기 위해 노력하고 항상 유능하고, 도덕적이고, 사회적으로 능력이 있는 성공한 모습으로 타인과 관계 맺길 원한다. 하지만 이는 의도적인 것이며 남들로부터 자신에 대한 호의적인 평판이나 존경 및 인정을 받기 위한 것이다. 불완전함 은폐 행동적-노력(nondisplay of imperfection)은 자신의 불완전함을 나타내는 결함이나 실수 따위들이 공적인 상황에서 행동으로 드러나는 것을 회피 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행동 이면에는 의도적으로 칭찬받지 못할 가능성을 줄이고자 하는 욕구가 포함되어 있어 타인에게 자신의 행동이 관찰의 초점이 되는 상황을 회피하고 개인적인 단점, 실수, 무능력함, 실패가 드러나는 상황을 피한다. 불완전함 은폐 언어적-노력(nondisclosure of imperfection)은 자신의 불완전함을 나타내는 실수 및 결함들을 남들 앞에서 인정하거나 말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향이 높은 사람은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에 대해 염려하고 사회적 상황에서는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잘 표현하지 않는다.

이러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개념은 청소년기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몇몇 인지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 청소년기에 두드러지는 특징은 ‘자아 중심성(adolescent egocentrism)'으로 이는 '상상적 청중(imagrinary audience)'과 '개인적 우화(personal fable)'로 나타난다. 그중 상상적 청중은 자의식을 지나치게 과장한 나머지 자신의 행동이 모든 사람의 관심의 대상이라고 생각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성향은 결국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에 신경을 많이 쓰게 한다. 이와 같이 타인의 시선을 중요시하는 청소년의 인지적 특성은 청소년이 타인에게 완벽하게 보이려는 욕구를 강화할 것이라고 볼 수 있고, ‘완벽하고자 하는 욕구(need to be perfect)’ 보다는 ‘남에게 완벽하게 보이고자 하는 욕구(need to appear perfect)’로 대인관계적 표현이 포함되어 있는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가 청소년들에게는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출처:픽사베이>

완벽주의 자기제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원우(2015)는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가 불안, 낮은 자아존중감, 우울, 섭식장애, 제한된 정서, 외로움 등과 정적 상관이 있다고 하였다. 오혜지(2012)는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노력과 불완전함-은폐 행동적 노력이 특성 분노와 정적 상관관계를 지닌다고 하였다. 백승희(2010)는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의 특성을 통해 완벽주의자들이 남에게 완벽하게 보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 알 수 있으며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역시 개개인의 성격을 구성하는 변인이며, 기존의 특성적 완벽주의와 서로 유사한 개념이지만 분명히 구분되고 분리되는 개념이라고 하였다. 김정호(1999)는 만일 상대방에게 좋은 인상을 주었다고 믿게 되면 자존감 및 자기 가치감이 높아져서 견고한 자아정체성 확립에 기여할 수 있지만 타인에게 부정적으로 인식된다는 지각이 되풀이된다면 부정적인 자아상을 갖게 되어 궁극적으로 자아정체성을 올곧게 확립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자존감과 자기 가치감에 타격을 받으면 정서적인 고통이 수반된다. 이 경우 개인은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기울였던 노력이 긍정적 자기 제시에 집착하게 되는 역효과를 불러일으키게 된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 허진, 2017, 여자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신경성 폭식증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현방식의 조절효과,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