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나누는 이야기
여자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신경증 폭식증에 미치는 영향 본문
여자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가 신경성 폭식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와 신경성 폭식증 관계에서 분노 표현방식(분노 표출, 분노 억제, 분노조절)의 조절 효과를 알아볼 때,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성향이 높을수록 신경성 폭식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가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보다 신경성 폭식증 수준이 더 높고, 자신의 완벽함을 남들에게 보여주려 하면서 자신의 실수, 단점, 실패와 같은 불완전함을 반영하는 행동을 하거나 공개적으로 말하기를 피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한 사람들이 신경성 폭식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선행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섭식장애 환자들 대부분이 완벽주의적 특성이 나타났다는 연구와 완벽주의적 특성이 신경성 폭식증과 높은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가 완벽하지 않음을 수용하지 못하면서 신경성 폭식증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와 일치한다.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와 신경성 폭식증 간의 정적 관련성은 완벽주의가 신경성 폭식증 행동과 관련되는 위험 및 유지 요인이며, 과체중을 스트레스로 느끼는 완벽주의적 여성이 신체에 대한 자신의 기준을 충족시켰다고 느끼면 신경성 폭식증을 경험하지 않지만,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했을 때에는 신경성 폭식증을 경험하게 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즉, 대인관계의 측면에서 타인에게 완벽하게 보이고자 노력하는 성격적 특성은 신체적 외양에 집중하고 남에게 지각되는 모습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등 신경성 폭식증을 유발하는 취약성이 될 수 있다. 특히 타인의 시선을 중요시하는 청소년기에 남에게 완벽하게 보이고자 하는 욕구인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성향이 높다면 도달하기 어려운 날씬한 몸매를 추구하고자 신경성 폭식증이 발달할 위험이 더 클 수 있겠다.
여자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와 분노 표현방식(분노 표출, 분노 억제, 분노조절)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가 분노 표출, 분노 억제, 분노조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성향이 높을수록 분노 표출, 분노 억제, 분노조절의 표현방식도 증가함을 보여준다. 우선,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성향이 높을수록 분노 표현방식 중 분노 표출 수준이 증가한다는 결과는 여자 청소년의 완벽주의가 분노 표출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다는 선행연구, 사회부 과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청소년이 분노 표출의 표현방식을 사용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성향이 높은 여자 청소년일수록 화가 나면 분노의 대상이나 타인에게 신체적 행위를 가하거나 비난, 욕설, 언어적 폭력 등 분노를 외현화하는 분노 표출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분노를 적절히 표현하는 것이 서툴고,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수준이 높을수록 본인의 기대 수준에 자신이 못 미친다고 생각할 때 경험하는 분노를 적응적으로 해소하지 못함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성향이 높을수록 분노 억제의 표현방식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지향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분노 억압 수준은 높다는 연구, 사회 부과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은 사람은 분노를 표출하거나 억제하는 표현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완벽주의가 분노 억제와 정적 상관이 있다는 선행연구 등이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은 사람은 분노를 경험하면 감정을 억압하고 회피하는 등 분노 억제의 방식을 사용한다는 연구와도 일치한다. 이는 완벽주의 수준이 높은 여자 청소년은 타인이 자신에게 높은 기준을 부과하였다고 생각하고 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분노를 경험하더라도 타인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혹은 거절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분노를 억압하거나 회피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성향이 높을수록 분노조절의 표현방식이 증가하였다. 이는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와 분노 억제 및 분노조절과 정적 상관이 있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사람은 스스로의 가치 실현을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타인의 평가에 대해 두려움을 갖지 않고 자신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좌절하기보다 목표를 보다 현실적인 수준으로 수정하여 자신의 분노를 적응적으로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타인으로부터 자신에 대한 호의적인 평판이나 존경 및 인정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성향을 가진 사람은 분노를 경험했을 때 부정적인 평가를 염려하고 두려워하기 때문에 분노를 조절하거나 억제하여 공적인 상황에서 자신의 결함을 드러내지 않으려고 한다.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와 3가지 분노 표현방식 간의 상관관계를 종합해보면,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성향을 가진 여자 청소년의 경우 타인이 자신에게 높은 기준을 부과하였다고 생각하고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면 분노를 경험하지만, 타인의 기대에 부응하고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를 두려워하기 때문에 분노를 조절하거나 억압한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분노를 경험하게 되면 분노를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이 서툴러 타인에게 신체적 해를 가하거나 비난, 욕설, 언어적 폭력 등 외현화된 분노 표출을 하게 됨으로써 분노를 적응적으로 해소하지 못함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 허진, 2017, 여자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신경성 폭식증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현방식의 조절효과,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