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함께 나누는 이야기

청소년들의 완벽주의가 식이장애로 이어지는 이유 본문

카테고리 없음

청소년들의 완벽주의가 식이장애로 이어지는 이유

발렌 2021. 3. 17. 09:00

인지 행동적 관점에서는 신경성 폭식증 유지의 일차적 요소로 섭식에 대한 과도한 평가를 제안하였고, 신경성 폭식증은 극단적인 체중조절 행동(제한된 섭식, 식이 억제 행동, 스스로 유발한 구토 행동, 하제와 이뇨제 남용, 과도한 운동), 신체 체크, 섭식행동, 체중에 대해 끊임없이 몰두하는 사고의 특징이 있다. 또한, 배고픔과 포만감의 조절 능력 상실, 세로토닌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마른 체형에 대한 미적 선호도, 친구와 미디어의 영향 등의 사회 문화적 요인, 신체 불만족, 외모에 대한 비교평가, 마르고 싶은 욕구, 낮은 자아존중감, 불안, 우울,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요인들이 신경성 폭식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백승희(2010)는 스트레스나 제한된 식사 뒤의 심한 배고픔에 의하여 폭식이 유발되는데, 폭식에 대한 불쾌함은 일시적으로나마 감소될 수 있으나 그 후 자신을 경멸하는 등의 부정적인 감정 상태에 빠져들기 쉽고 신경성 폭식증 환자들은 체중이나 체형이 자존감과 크게 연관되어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폭식을 하는 경우 과다한 섭취 이외에도 여러 가지 행동 특성들이 나타나는데, 다른 사람보다 더 빠른 속도로 더 오랜 시간 동안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신경성 폭식증은 청소년기와 성인기에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들은 불안, 우울, 부적응적인 정서와 신체 이미지에 대한 불만족, 낮은 자아존중감, 강박적인 기질, 완벽주의 등의 섭식행동 및 체중과 관련한 지각 과정에서 왜곡된 사고를 보인다. 그리고 부정적 정서가 신경성 폭식증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데 폭식 행동은 우울과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고, 이러한 부정정서는 다시 폭식 행동을 일으키게 된다. 신경성 폭식증 환자들은 긴장, 불안, 슬픔 등의 부정정서를 보고한다. 이상적인 신체상을 선호하는 청소년의 경우에도 다이어트, 단식, 그 밖의 체중조절에 몰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청소년은 특정한 태도(예: 마름의 중요함)와 행동(예: 다이어트, 구토)을 그들의 친구로부터 배우게 되며 가족의 의사소통, 부모 양육, 신체적 또는 성적 학대를 보고하는 청소년의 경우 신경성 폭식증 발달 위험이 높다고 하였다.

<출처:픽사베이>

이와 같이, 청소년기와 성인기에 빈번하게 나타나고 부정정서와 관련있는 신경성 폭식증은 90% 이상 여성에게서 발견되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1/10 정도가 신경성 폭식증에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전국 16개 시·도의 중·고등학생 7,000명을 대상으로 한 ‘국내 청소년 비만 관련 식습관 행태 파악’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소년 10명 중 1명 이상이 섭식장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여자 청소년이 518명(14.8%)으로 남자 청소년(368명, 10.5%)에 비해 섭식장애 위험률이 더 높았다.

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걸까? 우리는 그 원인을 완벽주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완벽주의는 주로 부정적, 병리적 측면에 초점에 맞추어 단일 차원적 개념으로 연구되었다. 완벽주의(perfectionism)는 과도하게 높고 엄격한 기준으로 평가하는 경향성을 의미한다. 완벽주의자는 자신의 가치를 생산성과 업적으로 평가하며 자신의 능력 이상의 비합리적인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 강박적인 압박을 느낀다. Hewitt와 Flett도 1990년대에 완벽성을 단일차원으로 생각하였으나, 1990년대에 완벽성과 우울증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면서 완벽성이 3가지의 다른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개념화하였다. 완벽성에 대한 다차원적 관점은 그 하위 차원이 다를 뿐 여러 연구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Hewitt와 Flett(1991)은 완벽주의가 적용되는 대상이 누구인지에 따라, 완벽주의를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self perfectionism)', '타인 지향적 완벽주의(other-oriented perfectionism)',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완벽주의는 우울, 강박, 불안, 낮은 자존감, 자기 비난, 섭식장애, 자살 등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들과 관련되는 위험 변인으로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선행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는 청소년들에게 부과되는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와 타인 지향적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청소년들의 식이장애 특히 폭식증을 유발한다고 잠정적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참고문헌 : 허진, 2017, 여자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신경성 폭식증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현방식의 조절효과,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