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1/03/13 (4)
함께 나누는 이야기
폭식 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이러한 대인관계에서의 민감성은, 주로 불안정 애착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대인불안이나 거부 민감성의 맥락에서 설명되어 왔다. 먼저 대인불안은 ‘낯선 사람들에게 노출되거나 다른 사람들이 지켜볼 수 있는 사회적 상황이나 어떤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현저하고 지속적인 두려움을 보이며, 그런 상황에서 창피하고 당황스럽게 행동할까 봐 두려워하는 것’이라고 정의된다. 즉,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 싶은 강렬한 욕구를 가지면서 자신이 과연 그렇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을지 의심할 때 대인불안을 경험한다. 일상 속의 대인불안 유발 상황을 살펴보면, 사람들 앞에서 발표할 때, 다른 사람들 앞에서 무엇을 해야 할 때, 낯선 사람들이나 이성과 이야기할 때, 권위자..
섭식장애의 높은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현존하는 섭식장애 치료법의 혜택을 입지 못하는 환자의 비율이 50-60%에 육박한다는 사실을 밝힌 연구가 존재한다(Mitchell, Agras & Wonderlich,2007). 실제로 치료 장면에 찾아오는 환자들의 수도 적을뿐더러, 이렇듯 적극적인 도움을 구하는 환자들에게서도 치료율이 절반에 불과하다는 점은 어떠한 심리적인 요인들이 질병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역설해 준다. Fairburn을 위시한 연구자들에 따르면, 그러한 요인들에는 정서를 인내하지 못하는 것, 대인관계 문제, 낮은 자존감, 완벽주의 등이 포함되며, 그 외에도 의존성에 대한 염려, 타인에게 버림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 분리-개별화의 어려움 등이 폭식 행동과 관련이 있는 ..
수치심은 자기 조절 능력과 관련되는데, 프로이트는 수치심을 충동을 억제하는 특성으로 보았으며, 에릭슨은 유아가 자기 통제와 자율성을 습득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수치심을 경험할 수 있다고 보았다. 피어와 싱어는 수치심을 실제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의 불일치로 인한 갈등과 긴장으로 설명하였는데, 죄책감은 ‘잘못된 행동’에 관한 것이지만 수치심은 ‘실패’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치심은 ‘버림받음’과 ‘유기’와 같은 무의식적인 위협을 야기하는데, 이러한 두려움을 보상하기 위해 자기 처벌적 행동이 나타난다. 실제로, 수치심을 경험하는 사람은 자기 존재에 대한 부적절감을 느끼고, 타인이 자신을 매력 없고 열등하다고 평가할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사라지고 싶은 마음이 들며, 분노와 모욕감을 경험하거나 타인을 비..
폭식 행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섭식 모델은 크게 세 가지로 섭식 절제 모델, 정서적 섭식 모델, 이중경로 모델이 있다. Herman과 Polivy(1980)는 폭식을 설명하기 위해 ‘섭식 절제 모델(Restraint)’을 제안하였다. 섭식 절제자들의 경우 섭식 유형에 있어서 다이어트로 인한 섭식 절제와 과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들이 음식 섭취에 대한 자기 통제를 약화시키는 탈억제 요인(disinhibitor)에 영향을 받게 되면 음식에 대한 생리적 욕구가 우세하게 되어 다이어트 계획을 위반하고 폭식 행동을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섭식 절제가 반드시 폭식을 유발하지는 않으며, 이에 대한 대안적 설명으로 정서적 섭식 모델이 제안되었다. 정서적 섭식 모델은 폭식 행동이 부정적인 정서에 의해 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