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함께 나누는 이야기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폭식증의 관계 본문

카테고리 없음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폭식증의 관계

발렌 2021. 3. 11. 18:25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을 목표 불안정, 인정 욕구, 착취, 과민, 소심을 제시할 수 있다. 먼저, 목표 불안정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직업적, 사회적인 정체성에 대한 불확실성 및 불만족이다. 둘째, 인정 욕구는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받고 칭찬과 사랑을 받고 싶은 욕구이다. 셋째, 착취는 착취적인 대인관계와 특권의식 및 자기중심적인 모습들을 반영한다. 넷째, 과민은 자신의 삶이 불행하며 자신을 무가치하다고 느끼고 평가에 예민한 모습과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소심은 소심하고 내향적이며 자신감이 부족한 모습들을 나타내고 있다.

<출처:픽사베이>

Anderluh, Tchanturia, Rabe-Hesketh, & Treasure(2003)는 섭식장애의 평가에서 성격적 특성이 섭식문제의섭식 문제의 원인에 있어서 직접적 관련성이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하였다. Diaz-Marsa, Luis, & Saiz(2000)는 섭식장애 환자들의 60% 이상이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성격적 결함을 가지고 있음을 주장했다.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섭식장애를 자기(self)의 장애라 보았고, 섭식 문제의 주요 원인을 자기애라고 보았다. Kohut(1971)과 같은 자기 심리학자들은 자기애의 핵심적 현상으로 자기 위안의 어려움과 방어적인 성격이 스스로 충족하지 못한 자기(self)를 음식물을 통해 끊임없이 충족하려 한다고 하였다. Steiger, Jabalpurwala, Champagne, & Stotland(1997)가 섭식장애 집단과 정신 병리 집단, 정상집단을 구분하여 자기애 수준을 구분해서 병리적 자기애로 인해 섭식장애가 일어난다는 이론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섭식장애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자기애 성향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Steiger, Gauvin, Jabalpurwala, Seugin, & Stotland(1999)의 연구에서 폭식증 환자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민감하고,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는 부정적인 사건이 폭식 삽화를 촉발하여 폭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고 밝혔다. 또한 Streigel-Moore, Silberstein, & Rodin(1986)도 섭식장애 집단의 여성이 정상집단의 여성보다 대인관계에서 보다 민감하고 평가에 대해 두려워하며, 이런 민감성은 신경성 폭식증의 위험요인이 된다고 하였다. 폭식 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의 특성과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관련이 있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평가 예민성은 가능한 비난을 피하는 방식으로 취약한 자기 개념을 보호한다. 이로 인해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들은 감정 기복이 심하고 사소한 스트레스에도 과민한 반응을 보이며 자기 가치감이 낮은 편이다. 국내에서 고등학생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폭식 행동의 관계를 살펴본 강영복(2012)의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가 폭식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일차적으로 정서 강도, 이차적으로 정서 표현 억제가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들이 폭식에 이르는 심리적 기제를 보면,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들은 타인의 평가와 비난에 민감하여 정서 강도를 크게 느끼고 증가된 정서 강도는 정서 표현 억제 수준을 증가시켜 음식물을 과도하게 섭취하는 폭식 행동으로 이어짐을 의미한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김혜지(2014)는 내현적 자기애와 폭식 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내현적 자기애는 우울, 수치심과 유의하고, 우울과 수치심도 폭식을 유의하게 예측했다. 따라서 내현적 자기애가 폭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과 수치심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 특성으로 사람들에게 쉽게 상처 받고, 거절당하는 것에 민감하기 때문에 경험하게 되는 우울, 수치심의 정서에 부적절하게 대처할 때 폭식 행동이 일어남을 알 수가 있다.

참고문헌 : 조연후, 2019,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대학원

Comments